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헌혈/조건 및 과정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= Fresenius-Kabi® Fenwal® Amicus™ Separator ==== [[https://www.fresenius-kabi.com/kr/documents/X6R2339%ec%a0%9c%ed%92%88%ec%84%a4%eb%aa%85%ec%84%9c201902.pdf|X6R2339 키트 사용설명서(국문)]] [[https://www.fresenius-kabi.com/kr/documents/K6R2312%ec%a0%9c%ed%92%88%ec%84%a4%eb%aa%85%ec%84%9c201901.pdf|K6R2312 키트 사양서(영문)]] [[https://www.fresenius-kabi.com/kr/documents/X6R2326%ec%a0%9c%ed%92%88%ec%84%a4%eb%aa%85%ec%84%9c201901.pdf|X6R2326 키트 설치설명서 (국문)]] [[https://www.fresenius-kabi.com/kr/documents/AmicusSeparator(6R4580)%ec%a0%9c%ed%92%88%ec%84%a4%eb%aa%85%ec%84%9c20191004.pdf|아미커스 본체 사용설명서(국문)]] '아미커스'라고 불린다. 트리마가 도입되기 전부터 사용되던 장비로, Baxter 라벨이 붙은 2.5 버전이랑 Fenwal 라벨이 붙은 4.4 버전, Fresenius-Kabi 라벨이 붙은 4.5버전이 있다. 이 장비도 마찬가지로 PL-A, A-PLT, PLT/P, RBC를 생산할 수 있다. 아미커스의 혈소판 채혈 속도는 헌혈자 개인의 혈소판 수치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데, 혈소판 수치가 낮으면 트리마보다 현저하게 느릴 수도 있지만, 반대로 수치가 높은 사람은 트리마보다도 빠르게 끝낼 수 있다. 중간에 혈관 수축으로 인해 프로토콜이 일시 정지되면, 혈액이 헌혈자에게 돌아가는 속도가 최초 100에서부터 10씩 깎임에 따라 소요 시간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. * 장점 *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요소가 아주 많다. 특히, Triple Kit에 Double Needle을 사용하면 할 수 있는 일이 아주 많아진다. interSOL 옵션이 적용 된 아미커스는 트리플 모드에서 단 1회 50분에 지방이 깨끗하게 분리된 혈장 3팩, 높은 농도의 혈소판 2팩, 백혈구가 깨끗하게 제거되고 높은 농도를 가진 RBC 1팩을 만들어 낼 수 있다. 성인 남성 whole blood 기준 아무런 영향이 없는 정도의 한계치가 480ml, 지속적인 휴식이 필요한 최대 상한치가 1800ml가량으로, plasma 3unit(300mlx3) / PLT 1unit(250ml) / RBC 1unit(250ml) = 1400ml 의 딱 죽지 않을 정도로만 뽑아낸다고 보면 된다. * 기본적으로 Double Needle 구성과 Single Needle 구성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. 더블로 진행 시 진행 시간이 짧아지는 이점도 있다. * 식염수가 같이 패키징된 키트로 키트 헌혈과정 중 필요한 모든 품목이 구성되어있다. * 구체적인 프로세스 수치(각 펌프의 유량, 컨테이너 저장용량 등), 빠르게 보이는 숫자와 막대그래프, 바로바로 조정할 수 있는 파라메터 등 헌혈자 개개인의 상황에 최적화된 프로토콜로 진행하기가 매우 편하다. * 백혈구 필터링이 매우 잘 되어 별도의 WBC Count 작업을 할 일이 잘 없다. * 장비의 반응 속도가 매우 빨라 헌혈자의 혈관을 터뜨리는 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. * 기본적으로 내장된 배터리가 있어 정전되어도 프로토콜 한 번은 돌릴 수 있다. * MCS나 트리마는 한 번 프로토콜을 돌면 무조건 재부팅해야 하지만 아미커스는 프로토콜 끝나고 자가 진단이 5초안에 끝난다. * 소리가 예쁘다. 맑고 고운 벨음이며 트리마와 같이 신경질적인 버저음이 아니다. * 커프가 장치에 포함되어 있다. * 리턴 시 식염수가 섞여 들어가 항응고제 반응이 덜한 편이다. * 단점 * '''비싸다.''' 아미커스의 가격은 트리마, MCS+는 코웃음 칠 정도로 엄청나게 높다. 아미커스 1대면 트리마 최소 5대는 살 수 있다. ~~헌혈센터에 있기 아까운 몸이다. 얘가 헌혈 말고도 할 수 있는 게 얼마나 많은데~~ * '''손을 많이 탄다.''' 키트를 설치하는 과정도 복잡하고 원심분리기에 Separation Chamber를 설치하는 과정도 트리마 대비 빡세다. * '''프로토콜 진행 중 마지막 10분 가량은 간호사가 붙어있어야 한다.''' 트리마는 바늘 빼고 언로드 하면 끝나지만, 아미커스는 니들 제거 후 Separation Chamber 내에 있는 혈소판을 열심히 흔들어 혈소판을 부유시킨 후 Storage Container로 Transfer 과정을 거쳐야 한다. * 처음 프라임을 진행할 때 헌혈자의 혈액이 아니라 식염수로 프라임을 한다. 첫 리턴 때 혈액이 아닌 투명한 생리식염수가 들어온다는 뜻이다. 이 때문에 오전 이른 시간에 헌혈을 하면 꽤 차갑게 느껴진다. interSOL 옵션 적용시 트리마처럼 자동으로 옮기나, 국내 사양 미적용. * 국내 [[의료법]]으로 싱글니들 키트만 사용하도록 되어있다. 위 설명서를 자세히 보면, 국내에서 사용하지 않는 모드라는 멘트를 몇 번 볼 수 있는데 그 부분이 더블 또는 트리플이다. * 장비가 크고 무겁다. * 유저 인터페이스가 전부 다 영어다. 한글화한 곳도 몇몇 있지만, 많지 않다. 다만 최근 들어 신규 설치분은 대부분 한글화가 잘 되어 있는 편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